본문 바로가기

☆ I T 분 야/   5) 해 킹 보 안

정보보안학과 전망 필요한기술


정보보안학과 , 정보보호학과

' 왜 전망이 밝을까 ?? '


대다수의 사람들은 정보를 다룹니다.

지식을 얻는 정보도 있지만

개인정보 유출이 심각해지고 있죠



우선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핸드폰 , PC 등

페이스북 등을 사용하지만

SNS해킹 을 검색해보면

심심찮게 빈번하다는걸 알수있을겁니다.


SNS해킹 왜 ??


페이스북 , 트위터 등 여러가지 SNS 등은

이름 , 성별 , 나이 , 번호 등

개인적 정보들을 기입하게 되어있습니다.


개인정보 내가 아닌

악의적인 목적을 가진 사람이 알게된다면..?


생각만해도 불쾌하겠죠



우리는 이미 정보의 중요성에 대해

알고는 있지만 경각심도 부족하고

얼마나 중요한지를 모르고 있다는거죠

이렇듯 정부에서는 정보보안전문가 인재

육성하기 위해 많은 투자와 지원을 하고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학교를 통해 인재를 배출하려고 하는게

가장 보편적이겠죠 ??




정보보안학과 , 정보보호학과


각각 어떤 학교들이 있는지 알아볼까요 ?



학교 



학과 



학교 



학과

 

건양대학교

정보보호학과

경기대학교

융합보안학과 

경일대학교

사이버보안학과 

고려대학교 

사이버국방학과 

광주대학교 

사이버보안경찰학과 

국립한국복지대학교 

컴퓨터정보보안학과 

극동대학교 

사이버보안학과 

대전대학교 

해킹보안학과 

동명대학교 

정보보호학과 

동신대학교 

정보보안학과 

목포대학교 

정보보호학과 

백석대학교 

정보통신부 정보보호학과 

상명대학교 

해킹방어학과 

서울여자대학교 

정보보안학과 

성신여자대학교 

융합보안학과 

세종대학교 

정보보호학과 

수원대학교

정보보호학과

순천향대학교

정보보호학과

영동대학교

정보통신보안학과 

영산대학교 

사이버경찰학과 

우석대학교 

정보보안학과 

위덕대학교 

사이버보안경찰학과 

전주대학교 

컴퓨터공학부 

조선이공대학교 

컴퓨터보안과 

중부대학교 

정보보호학과 

청강문화산업대학교 

모바일보안학과 

혜천대학교 

인터넷보안과 

호서대학교 

정보보호학과 


이 외에도 무수히 많은 학교가 존재합니다.

다 기재 하지 못한점은

정보보안 관련해서 중요시 되다보니

많은 학생들이 컴퓨터공학과 , 정보통신학과 등으로

가서 4학년때 배우는 학교도 많기 때문이죠





자 이제 정보보안학과 를 진학하거나

정보보안전문가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어떠한 과정들을 공부해야할지

이게 아무래도 핵심일듯 싶네요


우선은 정보보안전문가

크게 나누었을때

소프트웨어 성향이 강한 모의해킹

하드웨어 성향이 강한 보안솔루션


이렇게 두가지로 볼수가있는데

뭘 배워야 하는지에 대해서가

다르기때문에 초반에 내가 잘하는게 뭔지

내가 흥미를 느끼는게 어느부분인지 등

다양한 부분으로 체크를 해야 합니다.




H/W성향이 강한 보안솔루션 파트


CCNP ( 라우터/스위치 )

윈도우서버 , 리눅스서버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

통합 보안솔루션


네트워크기초

TCP / IP 소켓프로그램

시스코 라우터 , 스위치 인프라 구성

스위칭 장비운영 ( LAN 등 )

라우터 이중화 및 부하분산

라우팅 프로토콜 운영 등


윈도우서버 구축

DFS와 저장소관리 및 네트워크 연동 등


리눅스서버 구축

리눅스 관련 네트워크 연동 등


네트워크 해킹

스니핑 및 스푸핑 공격기법

SNMP취약점 , DDoS 공격기법

암호화 프로토콜 취약점

방화벽 우회 공격 기법

DNS와 DHCP서비스 취약점


웹 해킹

웹기초 + HTML5

인증체계 우회와 세션관리 취약점

XSS와 CSRF 취약점 분석


DB 취약점 및 보안

SQL 인젝션

웹 로직 결함 및 플랫폼 취약점 공격


통합 보안솔루션 구축

네트워크 보안 구성 및 관리

원격접속 보안 서비스

웹필터 및 어플리케이션 방화벽

클라이언트 보안

각 시스템 취약점 진단

네트워크 패킷 포렌식




S/W성향이 강한 모의해킹 파트


취약점 점검을 위한 인프라 구축

네트워크/윈도우/리눅스 등


네트워크 취약점 및 대응

스니핑 및 스푸핑 , SNMP취약점

암호화 프로토콜 취약점 등

네트워크 패킷분석 ( 고급 , 무선 , 유선 등 )


웹 소스코드 (시큐어코딩) 분석


데이터베이스 해킹 모의 DB서버 구축

오라클 취약점 및 보안

My/Ms SQL 취약점 및 보안


악성코드 분석 ( 패턴 , 분석 , PE 패킹 등 )


오픈소스를 활용한 디지털 포렌식

디스크와 파일시스템 분석 및 종류별 OS

아티팩트와 파일분석


실용암호학 (메시지 , 키 등)

실질적 모의해킹 ( 정보수집 및 취약점 평가 진단 )

침투 심화와 패스워드 크랙 등



알아야 하는점

프로그래밍언어 ( C , C++ , JAVA 등 )

시스템 ( 서버 운영체제 - 리눅스 윈도우 유닉스 )

네트워크 ( CCNA CCNP - S , R )

DB ( 데이터베이스 등 )

해킹보안 ( 시스템,네트워크,웹,리버싱,포렌식 등 )



이렇게 다양한 부분으로 알아봤는데

정보보안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무수히 많은 준비를 해야하는게 사실이죠

시스템 공격기법

네트워크 공격기법

웹 공격기법 등

무수히 많은 해킹기법이 존재하기 때문이죠


이렇듯 다방면으로 알아야하다보니

나라에서는 국가기간전략산업 / 내일배움카드제

대표적으로 이 두가지로써 국비지원을 해주는 상황이죠


마지막으로

정보보안의 비전이 밝은이유

위에서 쭉 언급해 왔지만

정리를 하자면 가장 크게 설명을 해볼께요

우리는 현재 정보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사이버전쟁 이라고 칭하는 북한과의 전쟁도

계속해서 이루어지고 있죠


정보를 유출해서 기밀정보를 사고판다던가

금전적인 목적으로 스미싱 , 피싱 등에 쓰인다던가

여러가지 문제가 많습니다

특히나 IOT 사물인터넷 시대가 다가오면서

개인정보의 보안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시점이죠







이를 보안 하는게 정보보안전문가 의 임무입니다.

그러한 만큼 정보보안의 비전은 앞으로도 너무 밝다고 

보여지는데 다른사람의 얘기가 아닌 

언젠간 꿈꾸게될 본인의 얘기가 될수도 있다는점

꼭 알아두시길 바라며 이와 관련하여

진학할때 무얼 해야 도움이 되는지

내가 앞으로 가고자 하는 진로에 있어서 궁금한 모든 점

언제든 도와드릴테니 부담없이 연락주세요 ^^

문의 연락처